행복공부방 운영 | ||||
가. 필요성 및 목적 | ||||
1) 필요성 | ||||
행복공부방은 방과후에 운영하던 것을 2014년 2학기부터 9시 등교가 시행됨에 따라 아침시간으로 옮겨 운영하는 것으로, 열악한 가정환경 및 맞벌이 가정으로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학습공간을 제공하여 돌봄의 역할과 동시에 자기주도학습 지원 및 기초학력 보완, 독서지도를 위한 것이다. | ||||
2) 목적 | ||||
가) 아침일찍 출근해야 하는 맞벌이 가정 자녀의 돌봄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지지해준다. | ||||
나) 기초학습능력을 향상시켜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학교 적응력을 높인다 . | ||||
다) 학습지도와 상담활동을 병행하여 진학․진로지도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준다. | ||||
라) 자기주도학습능력 신장 및 독서습관형성의 기틀을 마련해 준다. | ||||
나. 세부운영계획 | ||||
1) 행복공부방 운영사업 세부 계획 | ||||
가) 운영장소 :도서관 | ||||
방과후 학습 돌봄의 역할과 자기주도학습 환경 구축 | ||||
모둠숙제 장소 및 자료검색, 토론 등의 학습활동을 지원 | ||||
도서관의 도서 자유열람을 통한 독서활동 확대 | ||||
기초학습 보충 및 상담활동을 통한 인성지도 및 진로지도 | ||||
나) 운영시간 | ||||
① 주중 : 7시 40분~8시 40분 | ||||
② 토요일 : 9시~ 방과후 프로그램 및 행사 종료시간 | ||||
다) 배움 중심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운영. | ||||
공부방 참여 및 시간운영계획 세우기 지도 | ||||
학습계획 세우기 지도 | ||||
- 독서지도 | ||||
- 주요 과목 보충학습 지도 | ||||
라) 내실 있는 공부방 관리를 통해 행복공부방의 운영계획 모색 | ||||
학생들의 자율적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모색 | ||||
자기 주도적 학습 셀프 다이어리 만들기 | ||||
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코칭 등의 방법사용 | ||||
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행복공부방 참여율 향상 도모 | ||||
행복공부방 참여 우수자에게 상점카드 발급 및 학교장상 시상(학기별 년 2회) | ||||
특별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을 계획한다. (캠프운영, 부모교육, 외부인사 초청특강, 전문화(개별화)프로그램 운영등) |
||||
2) 행복 공부방 운영 방법. | ||||
주중은 1인의 교사가 참여하여 관리하며 학생들 지도 | ||||
주말은 행사가 포함된 경우 관리교사(부장교사)가 배치되도록 하여 관리하고 그 외 에는 일반교사(또는 부장교사)가 관리하며, 귀가 시 학생들의 안전귀가지도 이행 | ||||
나) 행복 공부방 관리내용 | ||||
|
||||
다. 기대 효과 | ||||
1)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 및 각종 사고 예방 | ||||
2) 학생들이 자율적 학습 참여로 기초학력 신장 및 올바른 인성 함양 | ||||
3)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신장 및 독서습관 형성을 통해 학력신장 도모 | ||||
4) 함께 모여 공부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 함양 |